둘째 어린이집 입소 후 평소 관심 있었던 조선미 교수님의 특강이 부모교육으로 열려서 다녀왔다.
두 아이를 키우며 유튜브에 올라온 교수님의 강의나 영상도 볼 여력이 없었던 나였기에
이번 부모교육은 나에게 당연하지만 새롭고, 정신을 바짝 차리게 해주는 좋은 교육이었다.
오랜 시간 기억하기 위해, 그리고 육아를 하며 비슷한 고민 중인 분들에게 강의 내용을 공유하고 싶어
오랜 시간 멈췄던 블로그에 글을 시작해 본다.
<아이 양육의 기본 원칙>
"영혼이 강한 아이로 키워라"
아이를 양육할 때 기본 원칙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며, 부모는 아이의 정신적 강인함을 길러내는 것이 주된 목표이다.
강의를 들어가기 앞서 교수님은 우리에게 이런 질문을 하셨다.
"어떤 게 아이를 "잘" 키웠다고 말할 수 있나요?"
"열심히 아이를 키웠다는 기준은 무엇인가요?"
머리를 한대 얻어맞았다. 나도 늘 열심히 키우고 있어요라고 답하는 부모였는데,
잘 키웠다의 기준에 대해 고민해 본 적은 없었기 때문이다.
"잘 키웠다의 기준은 다른 사람의 인정이 양육의 척도가 되고, 아이의 성장과정을 비교를 하며 달려가는 것이다."
그제야 왜 아이를 키울수록 지치고 우울해지는지 알 수 있었다.
인정욕구가 강한 나는, 육아에 있어 인정을 받고 있지 않는다는 느낌이 들면서 성취감이 사라지고
반복되는 일상과 아이와의 줄다기리에서 점점 지쳐가고 있었기 때문이다.
어느새 건강하지 않은 엄마가 되어가고 있는 중이었다.
"지금부턴 아이를 "잘" "열심히" 키운다는 표현은 잊으세요."
"우리는 아이들이 원하는 게 다 되던 세상에서 (부모의 품 안)
원하는 게 하나도 안 되는 세상(사회)으로 내보내야 합니다."
라는 교수님의 말씀이 가슴에 와 박혔다.
"아이의 성장은 "생각, 감정, 행동" 이 하나도 다듬어지지 않은 발전 가능한 큰 덤블이다.
지속적이고 동일한 가지치기(=훈육)를 통해 아이를 좋은 나무로 성장시킬 수 있으며
반대로 이에 실패할 경우 손 쓸 수 없는 큰 덤블이 되는 것이다."
단, 생후 2년까지는 아이의 욕구를 바로 충족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
이는 아이의 정서적 안정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첫째와 달리 생후 6개월이 되도록 통잠을 못 자는 둘째 아이 때문에
너무 많은 고민을 하고 있었는데 생후 24개월까지는 바로 욕구충족!이라는 교수님의 말씀에
둘째 양육방식에 대한 방향성을 다시 한번 다잡게 되었다.
<아이의 성장>
*생각:일관성 있게 규칙을 따르도록 키운다.
-규칙은 세상과 학교와 엄마가 정하는 것
-자율성은 아무거나 해도 상관없을 때 주는 것
*감정: 표현되는 것은 정상적인 범주. 감정을 조절할 수 있도록 키우자.
*행동: 사회적으로 바람직하게 행동할 수 있도록 할 것.
-아이의 행동에는 왜? 에 기반하지 않는다(목표지향이 아님)
-훈육으로 아이의 행동을 지속적으로 다듬어갈 수 있다.
교수님의 강의를 들으며 결국 양육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일관성 있는 부모의 자세라는 걸 다시 한번 깨닫게 되었다.
너무 당연히 알고 있지만 실제로 제일 어려운
일관성 있는 지속적인 훈육을 반복적으로 하다 보면
아이는 어느새 성장해 있을 것이다.
아이의 실패와 좌절은 가슴 아프겠지만
그 누구의 도움 없이 아이가 스스로 그 상황을 견뎌야 하며
엄마는 아이가 괴로운 걸 버틸 줄 알아야
아이가 바르게 성장하는 것이다.
지금 내가 할 수 있는 것.
나의 순간의 편리함을 위해
아이의 성장기회를 뺏지 않도록,
아이의 실패를 버텨내고,
아이가 지금 해야 할 일을 할 수 있도록 기회를 주는 것.
오늘도 전쟁 같은 등원을 마치고
마음을 다잡아 본다.
'육아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둘째는 수면교육중) 퍼버법1일차 퍼버법과 방치 구분하기 (0) | 2025.04.12 |
---|---|
통잠 못자는 6개월 아이 새벽수유 끊기 위한 노력 -수면교육(퍼버법) 시작 (1) | 2025.04.12 |
29개월 아기 고열-수족구?구내염? 목감기와 폐렴까지 증상 및 치료 (증상파악하기 (0) | 2023.06.17 |
[아이와 함께 갈 수 있는 서울근교 여행지 추천] 엄마가 행복한 공간, 엠포레 키즈 풀빌라 (2) | 2023.05.16 |
27개월 아기 가려움증(손,발,배, 목 등), 두드러기, 고열동반-“구진상자반성 장갑과 양말 증후군” (1) | 2023.04.27 |